
글/그림: 미울/BV 우유를 사서 귀가하는 정장 차림의 직장인 남성, 집에서 밥을 차리는 여성, 교복을 입고 귀가한 학생, 그리고 집에서 식사를 돕는 꼬마. 정상가족의 형태에 익숙한 독자들은, 1화의 이 모습을 보며 은연중에 부-모-자녀들이라는 도식으로 바라보게 된다. 하지만 이들은 사실 모두 남매이다. 은 초등학생인 막내 도령과 그 위 다섯 남매(화령, 재령, 미령, 보령, 세령)의 이야기다. 직장 근처에서 자취하는 첫째 화령과 대학 기숙사에 사는 셋째 보령을 제외하고는, 직장인 재령과 소설가 미령, 고등학생 세령과 초등학생 도령이 한 지붕 밑에서 서로 지지고 볶으며 살아간다. 이 이야기는 얼핏 보면 한 가족의 평범한 일상을 그려내는 재미있고 따뜻한 일기로 보인다. 그러나 훈훈한 로맨스와 감동적인 이야..

글/그림: 팀 심우도 1. 서: 슬픔을 이야기한다는 것 작가 이자크 디네센은 “모든 슬픔은, 그것이 이야기될 수 있다면, 견뎌질 수 있다.”고 말한다. 이야기된다는 것은 서사화됨을 의미하며, 바꿔 말하면 현재에 이르기까지 사태의 경로를 추적하며 의미를 해명해낸다는 것이다. 어떤 슬픔과 고통도 그 자체로 의미를 갖지 않는다. 이별과 상실은 때로 아무런 전조 없이 급작스럽게 찾아온다. 아픔은 가장 부조리하고 이해불가능한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. 사람들은 불행 자체에 의해서도 괴로워하지만, 그 불행을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서도 고통스러워한다. 사람들은 고통을 이해하는 방식을 필요로 한다.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, 슬픔과 고통에 대한 의미화는 그리 간단하지 않다. 그들은 본래 의미친화적인 대상이 아니며,..

전 세계의 나라들을 커피 소비량이 더 많은 쪽과 차 소비량이 더 많은 쪽으로 나눈다면, 한국은 단연 커피 쪽입니다. 한국인은 세계 평균(132컵)보다 약 3배가량(353컵)의 커피를 마시지만, 차는 세계 평균(0.57kg)의 1/3도 마시지 않습니다(0.16kg). 편의점에 들어가도 밀크티보다는 커피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, 길거리에서도 카페는 찾기 쉽지만 찻집은 찾아보기 어렵지요. 웹툰에서도 마찬가지로, 카페가 소재로 등장하는 경우는 자주 발견할 수 있지만(네이버 , 다음 , 레진 , 등) 차/찻집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 한마디로 차 이야기는 마이너 장르입니다. 차를 좋아하는 사람도 적고, 그 이야기를 소개하려는 사람은 더 적으니까요. 본문에서 리뷰하려는 웹툰들은 차..